집(house) : 사람이나 동물이 거주하기 위해 지은 건물로,
보통 벽(wall)과 지붕(roof)이 있는 형태를 뜻함.
사전적인 의미의 '집'은 단순 무형의 형태를 가지고있는 건물을 뜻하지만
집은 우리의 보금자리이자 생활에 있어 가족구성원을 연결 해 주고
추위와 더위 재해로부터 우리를 보호 해주며 때로는 다양한 개성을 나타낼 수도
때로는다양한 목적을 가진 형태로 이용할수있는 없어서는 안 될 아주 중요한 생활의 기본적인 요소 입니다.
집의종류도 취향과 용도에따라 다향한 형태를 띄고 있는데요
단독주택,빌라,주상복합,아파트 등등
이런 건축물 을 짓는 과정에는 기본적으로 4가지 구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철콘구조(AC구조) 라고 하는 구조입니다
[1] 철근콘크리트의 개념
#. 정의
① 콘크리트 속에 강봉을 묻어 넣어서 두 재료가 일체로 되어 외력에 저항하도록 한 콘크리트를 철근콘크리트 또는 RC라고 하며,
이때 사용한 강봉을 철근이라고 한다. 즉, 철근콘크리트란 철근으로 보강한 콘크리트를 말한다.
② 철근은 인장을 받는 데 적합한 재료이고, 콘크리트는 압축을 받는 데 적합한 재료이며,철근콘크리트는 이 두재료를 합리적으로 사용한 내구적인 구조재료로서
토목, 건축의 모든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는 경제적인 재료이다.
③ 건물에는 철근콘크리트 속에 구조용 강재를 묻어 넣어 보강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철골 철근콘크리트라고 한다.
근래에는 고강도 강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오입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가 교량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④ 철근콘크리트는 콘크리트와 철근의 합성체이므로, 그 해석방법과 설계이론이 단일재료로 된 구조물의 그것과는 많이 다르며 또 복잡하다.
[2] 철근콘크리트의 성질
(1) 콘크리트와 철근의 상호작용
① 콘크리트와 철근은 역학적 성질이 매우 다르다. 그러므로 철근콘크리트가 효율적으로 외력에 견디게 하기 위해서는 ,
압축은 주로 콘크리트가 받고 인장은 철근이 받도록 합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콘크리트는 인장응력을 받으면
쉽게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인장응력을 받도록 배치된 철근 둘레의 콘크리트에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② 철근콘크리트가 하중의 작용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가지는 구조재료로서의 구실을 다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와 철근이 각각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이 양자 사이의 부착강도가 충분해야하고,
또 인장 측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된 상태에서도 철근이 콘크리트와 항상 일체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시공이 되어야 한다.
③ 철근콘크리트에 있어서 응력, 변형률, 균열 등은 작용하는 하중, 부재의 종류, 부재의 형상과 치수, 철근의 배치, 사용한 콘크리트와
철근의 성질 등에 따라 크게 다르며, 재하의 초기로부터 파괴에 이르는 동안에 복잡하게 변화할 뿐 아니라,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온도변화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2) 철근 콘크리트 성립의 이유
①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강도가 크며, 이 부착력이 두 재료사이의 활동을 방지해서 일체작용을 하도록 한다.
② 콘크리트 속에 묻힌 철근은 녹슬지 않는다. 이것은 콘크리트가 알칼리성이기 때문이다.
③ 콘크리트와 강재는 열에 대한 선팽창계수(열팽창률)가 거의 같다.
따라서 대기온도의 변화로 인하여 일어나는 두 재료 사이의 응력은 무시할 수 있다.
구분 | 콘크리트재료 | 철근재료 |
장점 | ① 압축에 강하다 ② 내화,내구적이다 | ① 인장력이강하다 ② 연성재료이다 |
단점 | ① 인장력이약하다 ②취성재료이다 ③균열이발생한다 | ①압축력에서 좌굴이 일어난다 ② 대기중에 산화하여 녹이발생한다 ③비내화적이다 |
3.철근콘크리트의 장단점
(1) 철근콘크리트의 장점
① 구조물의 형상과 치수에 제약받는 일이 없이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②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각 부재를 일체적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강성이 큰 구조를 얻을 수 있다.
③ 구조물을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다.
④ 내구성이 좋다.
⑤ 콘크리트가 철근을 피복하므로 내화성이 좋다.
⑥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높은 강성과 질량으로 진동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2) 철근콘크리트의 단점
① 동일한 하중을 받는 동일한 지간의 휨부재를 만들 경우, 철근콘크리트는 강재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비하여
소요되는 재료의 중량이 크다. 지간이 큰 보, 높은 기둥, 또는 연약지반에 설치하는 구조물 등을 철근콘크리트로 할 경우,
재료의 중량이 커져서 구조 설계상의 결점이 된다.
②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인장측 콘크리트에는 인장응력으로 말미암아 균열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적절히 설계시공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균열폭은 구조물의 내구성을 해칠 정도는 아니지만,
균열폭이 어느 한도 이상으로 크면 주위의 공기와 습기의 침입으로 철근을부식시키고,
또 물이 침입해서 동결팽창하여 콘크리트를 파손시키는 경우도 있다.
③ 콘크리트는 취성재료이므로 콘크리트 부재의 모서리 등에서 부분적인 파손이 일어나기 쉽게 되는 결점이 있다.
④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완성 후에는 그 내부 결함의 유무를 검사하기가 매우 어렵다.
⑤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개조하거나 보강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그 방법이 어렵고, 또 경비가 많이 든다.
⑥ 철근 콘크리트의 시공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쉬운 공사라는 생각에서 특별한 기술을 가지지 않은 노무 종사자가
시공에 종사하는 수가 많으므로,결함이 있는 구조물이 만들어질 우려가 있고, 시공이 조잡해기 쉽다.
주요 벽체에 벽돌과 같은 방법으로 속이 빈 블록을 쌓아올려 벽체를 만드는 조적식(組積式) 구조법을 말한다.
오래전부터 간단한 구조물에 이용되어 왔지만,근래에는 철근으로 보강하여 각종 건축물 벽체에 널리 사용된다.
특징은 부식하지 않고 내풍성이 좋으며, 내화성(耐火性)·내구성(耐久性)·보온성(保溫性)·방음성(防音性)·단열성(斷熱性) 등이 우수하다.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한 집을 비교적 안전하게 지을 수 있다.
또 시공하기가 수월하여 공기(工期)가 단축되고, 블록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 등이 있다.
그러나 방수(防水)·방습의 결함이나 강도적인 결점도 있다.
지진과 산사태 자연재해에 자장 취약하다
# 형식
블록구조의 형식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조적식 블록구조: 블록을 단순히 모르타르로 쌓아 벽체를 구성하고 바닥·지붕 등은 목조·철골조·철근콘크리트조로 한다.
이 벽은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직접 받아 기초에 전달하는 내력벽(耐力壁)이다.
② 블록장막벽: 철근콘크리트나 철골 등의 주체 구조체에 블록을 쌓는 벽이다. 경미한 칸막이벽과 같이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받지 않고, 그 벽 자체의 하중만을 지지하는 비내력벽이다.
③ 보강블록구조: 블록의 빈 속에 철근을 넣고 콘크리트를 부어 보강한 것으로 상당한 수직하중·수평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가장 이상적인 구조이다.
④ 거푸집블록조: 살 두께가 얇고 속이 없는 ㄱ자형·ㄷ자형·T자형·ㅁ자형 등의 블록을 콘크리트의 거푸집을 써서
그 안에 철근을 배근(配筋)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벽체를 만든 것이다.
# 종류
사용되는 골재에 따라 중량블록과 경량블록으로 나뉘며, 사용하는 곳에 따라 칸막이용의 장막벽블록, 라멘의 장막벽블록 및
모서리용과 가로근용 등이 있으며, 형(形)에 따라 기본형과 반절형(半切形:기본형 길이의 1/2)이 있다.
기본형의 치수는 길이 39cm, 높이 19cm, 두께 19cm·15cm·10cm로 줄눈의 나비 10mm를 가산하면 길이 40cm, 높이 20cm가 된다.
또 블록은 사용되는 골재에 따라 보통 골재를 사용한 중량블록과 경량골재를 사용한 경량블록으로 나뉘며, 강도는 1급·2급·3급으로 구분된다.
# 시공법
블록구조는 막힌줄눈으로 쌓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특별히 의장이 요구되는 경미한 벽은 통줄눈으로 쌓는다.
일반 블록의 구조는 벽돌구조 구조규준에 준한다. 블록쌓기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각단쌓기: 블록쌓기의 밑창은 잘 청소하고 적당히 물축이기를 한 다음 깔 모르타르를 충분히 펴고, 블록은 규준틀에 맨 수평실에 맞추어 내리누르는 듯이 설치한다.
② 모서리 및 교차부쌓기: 위치와 각도는 정확하게 하고 모서리에는 모서리 블록을 사용한다. 막힌줄눈으로 할 때에는
아래윗단이 번갈아 물려지게 쌓는다. 교차부에는 바깥벽 또는 중요한 칸막이벽은 통과시키고, 직교하는 벽의 블록은 맞대어 쌓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블록구조 [block construction] (두산백과)
목조 주택은 역사가 깊고 오랜 기간 동안 발전을하며 구조, 공법 등이 꾸준히 변화되어 왔습니다. 미국 · 캐나다 등 북미 지역은 대부분의 주택이 목조이며 일본 · 호주 · 뉴질랜드 등에도 목조 주택이 활성화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전원 주택을 중심으로 목조 주택이 대중화되어 최근 용인, 광주 지역 등에 목 구조로 주택을 건축하는 경우가 철근 콘크리트보다 많아지고 있습니다. 1 원 목조 주택의 종류는 목재의 시공 방법 · 규격, 크기 등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할 수있습니다
- 기둥 보 구조 (Post & Beam)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오래된 전통적인 구조 중 하나로 횡재와 기둥으로 이루어진 구조 입니 다.
기둥 보 구조는 예전부터 널리 알려진 공법이기 때문에 목조 주택이라하면 기둥 보 구조라 연상되며
현대에 와서는 플랫폼 구조와 혼용되어 사용됩니다. 현대에 와서 기둥 보 구조의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적은 수의 대단면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부재 간 사이를 늘릴 수 있으며 자재와 인력을 절감 할 수 있습니다.
2) 목재가 노출되어 나무가 가지고있는 자연스러운 질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3) 지붕을 벽체 나 바닥보다 먼저 구축 할 수있어 내부 작업 공간 및 자재 창고 등의 기능이 제공되어 작 업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플랫폼 구조보다 기둥 보 구조가 어려운 구조라고하는 이유는 보와 보 · 보와 기둥과 같은 연결 부위의 설 계와 시공에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결합 부위를 통하여 하중이 전달되기 때문에 안정성과 직결되며 내력벽이나 가새의 적정한 사용을 고려해야합니다.
ATOM 0.3 기둥 보 구조의 단점은 다른 구조에 비해 전기 나 배관 설비 등 매설 공간이 없어 그대로 노출되거나 천장이 보이게 마감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경량목구조:
[ Light Weight Wood Framing System ]
경량목재를 이용하여 기둥, 보, 서까래, 장선, 스터드 등 주요 골조를 세운 목조주택 방식이다. 미국, 캐나다 목조주택의 대부분이 경량목구조로 지어지고 있습니다.
목재를 각목형식으로 균일하게 잘라 면과 면을 맞대어 못을 박아 시공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가볍고 균일하게 재단된 목재를 사용해 시공이 단순하고,
목재의 대량 공급이 가능해 경제적으로 비용절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또 단순한 건축방법으로 구조체를 경량화할 수 있어 자유로운 건축디자인이 가능합니다.
경량목구조를 내진설계 측면에서 보자면 과거 건축법상 내진설계의 대상이 철골조나 콘크리트조 건축물이었던데 반해
이젠 그 대상범위가 목조로까지 확대되면서 건축구조기술사와 경험있는 시공기술자의 수급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됐습니다.
-중목구조
경량목조가 가볍고 얇은 각재들로 프레임을 만들어 구조체를 지탱하는 방식이라면 중목구조는 굵은 목재를 사용해 기둥과 보를 구조재로 사용하는 축조공법입니다.
일반적으로 포스트빔이라고도 불리우며, 우리나라의 전통 한옥양식인 들보, 기둥, 서까래 구조가 대표적인 중목구조의 건축양식 중 하나입니다.
두꺼운 목재가 주재료로 쓰여 단단하고 안정적이며 특히 지진과 화재에 강해 일본에서는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건축구조양식입니다.
설계 시 구조체의 하중 및 외부충격에 의한 내력 등을 정교하게 계산하고, 공장에서 설계에 따라 목재를 재단하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조립만 하는 식으로 시공되며,
자재를 폐기하는 비율이 현저히 낮아 건축폐기물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 일본에서 도면에 맞게 목재를 구입하고 재단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해
비용측면에서 경량목조보다 더 많은 건축비가 소요됩니다.
중목구조가 경량목조와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점은 구조체인 목재가 노출된다는 점입니다. 경량목조의 경우 각재가 외부충격과 불에 약해
노출시킬 수 없지만 중목구조의 경우 굳이 석고를 덧붙일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노출시켜 특별한 인테리어를 추가하지 않아도 자연 그대로의 중후함과 멋을 낼 수 있습니다.
또한 자연목재를 생활공간에 그대로 가져와 깨끗하고 신선한 실내공기를 유지시킬 수 있어 쾌적하고 건강한 집을 만들 수 있습니다.
└ 프리컷 중목구조와 특징
중목구조 건축물을 만드는 대표적인 공법으로 필요한 모든 구조재 및 부자재를 설계도면대로 미리 공장에서 정밀 가공해 보조철물과 함께 납품하고,
현장에서는 조립만 하는 축조방법을 말합니다. 프리컷 공법은 정밀도가 높고 내구성이 강하며, 우수한 목재품질로 주택수명이 길어
태풍이나 지진 등 자연재해나 새집증후군으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집을 만들 수 있습니다.
* 경량목구조와 중량목구조 쉽게 보는 차이
현재는 각 구조의 장단점을 결합해 많은 단독주택을이 목조와 혼합형식 으로 지어지고있습니다
목조주택하면 사찰 같은 전통 한옥을 떠올리시고, 우리나라가 마치 굉장한 기술력 있는 것처럼 생각하시는데요.
실은 우리나라는 새마을운동과 주택개량운동을 거치면서 대부분의 집이 벽돌이나 콘크리트로 지어져
목조주택에 대한 특별한 공법적 개발이라든가 기술혁신이 이뤄진 상태는 아닙니다.
현재 유행하고 있는목조주택 또한 우리나라 전통방식이 아닌 북미식 경량목구조와 일본식 중목구조가 대부분입니다.
목재자체도 국산 목재가아닌 수입산 목재가 더 높은 가치로 인정받고있습니다 함수율(나무가 가지고있는 수분의 함유랑) 이
적절한 목재로 시공되었을때 안전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것인데 국내산 목재보다 수입 목재가 그 정 함수율을 적정히 함유하고있어
국내목재보다 하자 발생율을 최소화 시키고 쾌적한 주택시공이 가능하다는 평입니다.
그동안 알려진 바 와 같이 목조주택의 안정성과 장점들이 부곽되고있고 한국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 라고 할 수도 없는 요즘
화재와 환경 적으로도 안전하다고 인증받기 시작한 목구조의 주택이 인기를 끌고있는 추세입니다.
철골구조는 형강(形鋼) ·강판(鋼板) ·평강(平鋼) 등의 강재(鋼材)를 사용하여 이들을 리벳이나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 조립하는 구조를 말한다. 철재로 조립한 주요골조를 철골이라 하며 철골조 ·강구조라고도 한다. 철근콘크리트와 철골을 함께 사용하는 구조를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라고 하며, 철근콘크리트를 단순히 철골의 내화피복(耐火被覆)의 의미에서만 사용하고 있는 경우나 철골조와 콘크리트블록조 및 연와조와 함께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도 구조계산의 단계에서 철골을 주요구조부재로서 설계한 것이면 철골구조라고 할 수 있다.
경량 철골 구조, 또는 스틸 하우스 라 불리며 기둥, 보, 내력벽 등의 주요 구조 부가 철골로 구축되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보통 스틸 하우스에 적용되는 철골은 두께 1 mm 내외의 C 형강 경량 철골이 사용되며 아연 도금 처리가되어 내구성이 강하며
특성상 썩거나 뒤틀림이 없어 주택의 내실을기할 수 있습니다. 기둥과 같은 스터드와 벽면 상하의 수평 부재 인 트랙 바닥이나
천장을 받쳐주는 부재 인 조이스트로 부재가 나뉘며 이것 율 용접, 나사, 클린 칭 방법으로 조립하여 집의 형태를 만들게됩니다
유럽이나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일반 주택용으로 많이 시공되고 있기도합니다
경량 철골 구조 스틸 하우스 공법 종류
STUD 형 공법
미국의 전통적인 목조 주택 공법에서 유래하여 사용되는 소재 만 다를뿐 목 구조 형식과 거의 흡사 한 구조입니다. 각종 스터드, 장선, 서까래 등의 구조재를
공장에서 생산, 가공하여 현장에 입고 한 다음 조립 및 특정 부재를 절단, 가공, 제작하여 벽체와 지붕 골격을 조립 및 시공하는 방식입니다.
Panelling 공법
스터드 형보다 발전된 방법으로 주택의 골조 설계를 통해 벽체, 트러스 등 공장에서 생산 된 단위 패널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공법입니다
단열재 충진, 매입, 전기 배관, 합판과 같은 마감 바탕 판재가 사전에 시공되어있어 현장의 공정을 단축시키고 균일 한 품질의 주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둥, 보형 철골 구조 공법
가장 널리 알려진 철골 구조 공법으로 주로 상가,빌딩 아파트 백화점등 대형 건축물에 적용되는 대형 강재를 주택에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목조 주택의 기둥, 보 방식과 유사 하나 경량 형강 방식의 스틸 하우스가 보급 된 주택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공법입니다.
사계절 전천후 시공 가능 스틸 하우스에 쓰이는 자재는 경량 철골 이기에 동일한 치수의 목재보다 가벼워 현장에서 손쉽게 다룰 수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공 기간이 비교적 짧고 시공 중 설계 변경도 용이 한 편으로 건식 공법이라 기초공사가 되어있는 상태라면 동절기에도 무리없이 시공이 가능합니다
물에 강하며 내구성 우수합니다 스틸 하우스는 구조재 자체가 불과 열에 강한 불연성이고 석고 보드를 사용하기에 화염을 차단하는 능력이 탁월합니다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좋아 스틸 하우스는 한번 지어 놓으면 약 100 년이상가는 내구성을 지녔습니다. 또한 목조 구조와 같이 지진에 강한 구조로되어 있으며 보수 나 유지 관리도 용이합니다
결로 방지를위한 단열 보강 장점이 있다면 단점도 있겠지요 스틸은 열전도율이 높아 결로 방지를위한 단열 보강이 필요합니다.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 외장재를 적용 할 경우 결로 방지를 위해 외장 마감재 시공 전 외벽면 바탕에 보강 공사를 진행하여야합니다.
구조 변형에 대비 스틸 하우스 대부분에 적용되는 가구 식 구조는 풍압, 지진 등 수평 력에 의해 약간의 변형이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이는 실내외 마감재의 균열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접합부의 강성 확보 및 단위 부재의 적정성 결정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각각의 구조에대한 큰 틀을 알아봤습니다.
건축물마다 규모나 쓰임에맞는 건축구조가 따로있고
각각의 특성에맞는 강점과 단점들도 가지고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장점만 가지고있는 건축구조가 없듯 구조 자체도 중요하지만
각 구조의 단점을 보완 해 줄 수 있는 건축자재와 부자재들이 제 역할을 다해
각각에 맞는 쓰임을 다 해 준다면 더할나위없이 완벽한 건축물을 얻을수있을 것입니다
건축구조도 물론 중요하지만 자재의 역할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겠죠
각 건축물 구조의 장점과 단점들을 파악하시고 용도에맞는 건축물을 설계 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