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 에이징을 대비 한 목재 환경 국제 연합 (UN)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평균 연령은 35.1 세이고,
2050 년에는 평균 연령이 53.9 세로 세계에서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있다.
출생률 저하와 사 망률 저하가 인구 고령화의 요인이다.
평균 수명이 긴 나라가 선진국이고 평화 롭고 안정된 사회를 상징한다.
그런 의미에서 장수는 바람직한 인간의 미래상이자 소망이다.
그러나 우리 주변은 새로운 물질의 개발로 유해한 물질이 증가하면서
크고 작은 환경사고가 끊이지 않고있다.
'과연 어떻게 사는 것이 건강하게 잘 사는 법인지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숙제이다.
그러므로 개인적으로도 잘 늙는 법,
즉 사람이 사람 답고 아름답게 늙는'웰 에이징 (well-aging) '의 실천이 절실하다.
지금 까 지 사람이 사람 답게 사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웰빙 (well-being) 시대 였다면 점 차 웰 에이징 시대로 바뀌고있다.
우리의 주거 환경도 이러한 전환에 초점을 맞출 필 요가있다.
주거 환경에서 인체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온 효과가 큰 목재와 같은 천 연재 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이가 들수록 신진 대사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체온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신체로부터 열을 빼앗지 않으면 서
다른 재료보다 보온 효과가 뛰어난 목재 사용 환경에서
살아가는 것은 노약자의 면역력 상승에 큰 도움을 준다
(신체에서 열 생산은 심장에서 가까이 장기가 모여있는 중심체온
즉 삼부 (core)에서 이루어지고,
극히 소량의 옅은 외각 조직 (shell)에서 발생한다.
심부는 함상 37 ° C 유지하는 반면, 외각 조작은 주안 환경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
체온을 1 ℃도 올리면 면역력이 5 배 높아진다는
일본 의학 박사가 쓴 책이있다
사람의 평균 체온은 36.5 ° C 다.
건강 보건보고에 의하면 : 50 년전의 제 온아 평균 36.8C인데
최근은 35 ℃ 정도로 떨어 졌다고한다.
날씨 때문이 아니다 근육 운동과 육체 노 동의 감소,
소금 섭취 제한, 과식과 스트레스, 화학 조미료와
에어컨 사용 등 야 인간의 체온을 떨어 뜨렸다.
체온이 낮아지면 몸에서 신진 대사가 방해 받아 면역력이 떨어진다
신체에서 발생하는 체열 생산량의 70 % 이상이
뇌 및 심장 폐 동치 만 내에 아라 장기에서 이뤄진다.
근육과 피부 및 기타 조직에서 생산하는 열량은 전체의 30 % 미만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열 생산은 심장에서 가까이 참가가 모여있는 중상 제온
심부는 항상 37 ℃를 유지하는 반면,
외각 조직은 주변 환경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심부에서 37 ℃로 데워진 동맥의 피가 외각 조직에서 열을 잃고
차가운 정맥의 피로 바뀌어 심부로 돌아 간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 심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각 조직은
혈류의 이행이 빨리되지 않아 정상 체온보다 낮아진다.
이러한 현상은 여름보다 추 운 겨울이 더 심하다.
이로 인해 노인들의 체내 면역력도 크게 저하된다.
무기질의 | 콘크리트와 같이 인체에서 열을 빼앗아가는
냉 복사의 재료는 노인들의 체온 유지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면역력을 떨어 뜨려 질병의 원인이된다.
노인들과 함께하는 주거 재료는 난 복사가 일어나는 목재를 사용해야하는 이유 다
(무기질의 콘크리트와 같이 인체에서 열을 빼앗아가는 냉 복사의 재료는
노인들의 체온 유지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면역력을 떨어 뜨리는 질병의 원인이된다.
그러므로 노인들과 함께하는 주거 재료는
목재와 같이 난 복사가 일어나는 재료를 사용해야한다 )
원적외선에 가까운 복사열 목재에서 얻어지는 복사열은
햇볕의 따뜻함이나 숯불, 장작 난로에서 나오는 열과 유사한 원적외선에 가깝다.
원적외선은 신체의 외각 조직에 깊숙이 흡수되며 체온을 높이고
혈액 순환을 도와 준다.
특히 겨울철에 면역력이 크게 저하되기 쉬운
노약 자들의 건강에는 매우 유리하다.
목재에서 방사하는 복사열은 방의 공기를 따뜻 하 게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몸과 물체 전체의 열을 따스하게 감싸 준다.
체온을 올 리고 내리는 에너지 소모가 적기 때문에
실내의 온도를 올리지 않아도 불쾌함이없다
체감 온도, 다시 말해서 인간이, 덥다, '춥다'를 느끼는 감각은
단순히 실온만으로 결 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복사열이나 실내 온도, 기류 속도 등이 복합 된 결과에서 얻어지는 감각이다.
복사열이란 벽이나 천장 등의 모든 물질에서 나오고 있으며,
이 러한 열을 받아들이는면에서 열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는데
체감 온도를 결정하는 요인에는 바로 이 복사열이 작용하고 있다
양로원이나 노인 복지 시설의 대부분이 콘크리트 건물이다.
가뜩이나 혈액 순환이 순조롭지 않아 체온이 떨어진 노인들로부터
건물을 향해 체열 방사가 일어나고 체온을 빼앗는다.
궁극적으로 실내 난방을 높여도 금방 따뜻해 짐을 느끼지 못하며
발목이 시리거나 오싹한 한기를 느끼게된다.
이것은 난방비의 부담을 키워 줄뿐만 아니 라 쾌적 감을 얻을 수 없는 주거 환경이된다
그러나 복사열 (바닥, 벽, 천장 등의 표면 온도)이 높아지면
실온은 낮아도 신체적 으로 느끼는 체감 온도는 높아진다.
특히 원적외선에 가까운 복사열이 높아지면
실온이 20 ℃ 정도라도 적당히 따뜻함을 느낄 수 있으며,
난방을 강하게 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낮은 실내 온도에서도, 쾌적 감을 얻을 수있다
노인 건강의 근원 인 고체온 유지의 기본은 주거 환경에서 오는 보온 효과라고 생각한다.
쾌적한 열 환경은 면역력을 높여 주므로
웰 에이징을 향한 불가결의 요소이다
추운 겨울을 보내면서 노약자를 대상으로하고
초 고령화 사회를 향한 사회 구조에서 미래를 향한
바람직한 주거 환경이 어떤 것인지 돌아 보는 기회가 되었으면한다
적외선 방사율은 목조주택이 콘크리트 주택에 비해 여름에는 높기 때문에
주택 내에서 시원하고, 겨울에는 낮기때문에 따뜻하다.
콘크리트 주택은 열방사율 차이로 인해 겨울철 실내난방을 높여도
노인들이 금방 따뜻해짐을 느끼지 못하며
발목이 시리거나 오싹오싹한 한기를 느끼게된다.
-글 이동흡 박사 한국 목조 건축 협회 전무
-
전원주택라이프ⓒ 발췌